본문 바로가기

미용 & 건강

비타민D 효능과 부작용

최근 병원에 방문해서 혈액검사를 했는데요... 비타민D 결핍..이라고.... 혈중농도 30~100ng/ml 정상수치인데,   저는 9ng/ml로 결핍~이랍니다. 그래서 비타민d 주사를 한방 맞고 돌아왔습니다.  햇빛 보는것도 싫어하지만 비타민d는 전혀 복용하지 않고 있었거든요. 이번 기회로 비타민d 공부를 하게 되네요.

 

 

 

비타민D 효능과 결핍시 증상

 

한국사람은 매년 비타민D 혈중 농도가 감소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인에게 가장 부족한 비타민D 적정 수치는 어느 정도일까요?

결핍  20ng/ml  => 불충분 20~30ng/ml  => 30~100ng/ml 정상 => 100~150ng/ml 위험 가능성 => 150ng/ml 독성

 

한국인 혈중 비타민D 평균 농도 약 18ng/ml에서 적정농도인 30ng/ml 이상 올리려면, 2000 단위 이상을 꾸준히 섭취해야 가능하다고 합니다. 비타민D 섭취를 중단하면 다시 수치는 내려갑니다. 30~100ng/ml가 정상인 것을 감안하면 30ng/ml도 안전한 수치는 아닐 것 같습니다. 

 

 

<비타민D 효능>

 

단순하게 뼈에만 좋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예상보다 다양한 효능이 있었습니다. 

 

  •  칼슘 흡수 증가로 뼈를 튼튼하게 한다.

  •  혈중 비타민d의 농도가 높을수록 당뇨병의 위험성이 줄어듦.
    - 비타민d 수치가 정상보다 낮을 때 5년 후 당뇨병 발생률은 3.2배 증가. 
    - 1형이든 2형이든 당뇨가 있으시다면 꾸준한 섭취 권장

  •  혈관의 탄성력을 유지시켜주고 혈관 확장 인자의 분비를 도와주어 혈압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
    - 혈중 농도가 10ng/ml씩 감소할 때마다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29% 정도 증가

  •  저혈압인 경우에도 수치를 정상혈압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  좋은 콜레스테롤 HDL을 증가시켜주고,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을 감소시켜주어 고지혈증에 좋다.

  •  사이토카인이라는 염증 조절 물질을 조절하고 관리해 주는 역할을 하여 체내 면역을 개선시켜주며,   감기, 천식, 아토피, 자가면역질환에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함

 

 

<결핍>

 

비타민D 결핍 시에는 심혈관질환, 자가면역질환, 당뇨병, 아토피, 천식, 비염, 치매, 우울증, 근력저하, 인슐린 저항성 증가,  뼈와 근육의 통증, 비만, 잇몸질환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비타민D 섭취용량과 부작용

 

<섭취용량과 기간>

 

섭취 시 초반 상승곡선을 보이다가 서서히 일정 수준을 유지하므로 ( 용량과 수치가 꼭 비례하진 않음)

첫 섭취는 높은 용량의 5000 단위 내외로 시작하고 이후 2000 단위 내외로 섭취하여 유지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비타민D를 첫 섭취하시거나 6개월 이상 섭취 안 하신 분
    - 매일 4000~5000IU를 ~12개월 동안 섭취 (이후는 유지용량으로 섭취)

  •  유지용량 ; 비타민D를 꾸준히 섭취하신 분 중 유지하는 용량
    - 매일 1000~2000IU를 정해진 기간 없이 꾸준히 섭취 권장

  •  비만~일수록 비타민D 요구량이 올라갑니다.
    -비만일 경우 비타민d를 복부지방에 저장하여 사용량이 떨어짐

  •  일반 성인 기준보다 1000IU 증가해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복용법>

 

식사 직후 또는 식사 중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 중에는 담즙 분비가 활발해지고 이 담즙이 비타민D 흡수에 도움이 되니 함께 먹자고요~비타민d는 지용성 비타민이기 때문에 풍부한 영양제나 기름과 함께 드시면 흡수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복용 횟수>

 

비타민D는 간에 저장되었다가 필요시 필요량만큼만 혈중으로 유출됩니다. 

 

매일 섭취  VS  일주일에 한 번 고용량 섭취  =  효과면에서 큰 차이 없으므로 둘 다 가능함

단, 한방을 노리며 일 년에 한 번  몇만 IU를 꿀꺽~ 하시는 경우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부작용>

 

몇 만 IU의 고용량은 장기 복용 시에는 부정맥, 칼슘 침착 등의 부작용도 나타날 수 있으니 항상 적정용량을 복용하도록 합시다. 하지만, 혈중농도 100ng/ml을  넘기기란 쉽지 않다고 하니, 비타민 d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한국인이라면 안심해도 될 듯합니다. 

 

혹시라도 과다 섭취하여 구역이나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비타민D 섭취를 줄이고, 물을 많이 마시면 됩니다.